전화 한통화면 핸드폰요금 25%할인 되는 휴대폰 요금 할인신청 방법
핸드폰요금 20%할인 되던것에서 할인 폭을 더 늘려 휴대폰요금 25%할인이 가능하다는 뉴스 보셨나요? 이번기회에 모두다 핸드폰 요금 25%할인이 되는지 일부만 되는지 방법과 조건에 대해 알아보았어요. 원래 핸드폰요금 할인은 문재인핸드폰요금이라고 해서 대선때 공약인데 통신사들의 반발이 심해 20%에서 단계적으로 늘린다는 방침이 발표되었는데 25%로 늘어났다고 하네요.
얼마전까지 이동전화 요금이 20%할인만 되던것에서 9월부터 25%로 올랐다고 합니다. 휴대폰 요금할인은 이번에 위약금을 유예해주는 제도가 생겨서 연일 더 관심을 받고 있는것 같아요. Kt 같은 경우도 무약정 요금제를 출시했고, 선택약정 할인 유예제도 역시 개편했다고 해요.
뉴스에서 보기로는 lg핸드폰이건, kt핸드폰이건, sk핸드폰이건 이통3사는 모두 전화 한통이면 핸드폰요금이 25%할인된다고 했지요. 잘못 이해하기 쉬운 핸드폰요금 25%할인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았어요.
KT같은 경우는 기존의 20% 요금할인 선택약정 가입자가 다시 재약정을 신청해서 25%할인을 받는 방법이에요. 기존의 약정부분은 위약금 없이 재약정을 해준다고 해요. 기존에는 약정기간이 6개월 미만일 경우에만 유예가 됬는데 이번에 바뀌어서 위약금은 유예를 시켜주는 것이라고 합니다.
[휴대폰 요금 25%할인]
SK와 lg도 같은 기준인데 sk는 3월 5일부터 요금할인을 신청받고 있고, LG유플러스는 1월 12일부터 이미 시행하고 있었다고 해요.
요금약정 할인의 기본조건은 평균 가입요금수준(약 4만원 선)을 기준으로 각 시점에서 요금할인 가입자가 1년 동안 약정을 유지한다는 가정 하에 받을 수 있는 요금할인이에요. 1년이나 2년 약정시 약정할인을 받은 사람들도 추가로 5% 할인이 더 된다고 해요.
[선택약정 할인제도]
주의할 점은 다시 재계약하는 조건으로 할인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약정기간이 늘어난다는 점이에요.
잘 모르고 재약정을 기준으로 25%할인을 받았는데 중간에 번호이동이라도 하려면 위약금과 그동안의 할인액도 다 돌려줘야 한다는 말이죠. 나중에 번호이동하려고 계획하시는 분들은 주의하셔야겠죠. 위약금이 유예될 뿐 없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 간과하시면 안되요. 약정 기간에 휴대 전화를 잃어 버리거나 피치 못할 사정으로 통신사를 바꿀 경우, 2번의 위약금을 내야 합니다.
[핸드폰요금 25%할인]
25%할인 신청방법은 두 가지인데요. 대리점이나 직영점에 방문하는 것과 전화로 신청이 가능해요.
대리점이나 직영점은 신분증을 지참해야 하고, 114에 전화해 상담원을 연결해 진행이 가능해요.
신청이 많이 몰릴것을 대비해 각 이동3사는 직통전화를 개설했다고 합니다.
휴대폰요금할인 고객센터는 SKT는 080-8960-114, KT는 080-2320-114, LGU+는 080-8500-130으로 하면 되요.
sk, kt, lg모두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도 되는데 위약금 유예 시 일부가 제약조건도 있다고 하니 꼼꼼하게 따져보시는게 좋겠어요.
↓↓도움되셨다면 빨간공감♥ 버튼을 눌러주세요.
제게 큰 기쁨과 힘이 된답니다.^^
'생활경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72법칙 이란 재테크노하우 부자공부 (0) | 2018.03.19 |
---|---|
미니보험이란 월보험료 180원?? 보장성보험 소식 (0) | 2018.03.16 |
문산 개성 고속도로 서울 문산 고속도로 연결될까? 통일예언과 전망 (0) | 2018.03.15 |
etn etf 차이, etf 투자방법 주식용어 상장지수펀드란 비교정리 (0) | 2018.03.15 |
알라딘 책팔기 회원에게 예치금 환급방법, 후기 (0) | 2018.03.14 |
댓글